대한민국 국가안전기획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는 1981년 중앙정보부의 확대 개편으로 설립되어 1999년 국가정보원으로 개편되기 전까지 국외 및 국내 정보 수집, 대공, 방첩, 보안 업무를 수행했다. 안기부는 설립 초기 대공, 대북 업무를 강화했으나, 학생운동, 반정부 세력 탄압 과정에서 인권 유린, 도청, 여론 조작 등 논란을 겪었다. 선거 개입 시도와 용공 몰이 논란, 지역 차별 등의 문제로 비판을 받았으며,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국가안전기획부 - 평화의 댐
평화의 댐은 북한 금강산댐 붕괴 우려로 1986년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감사원 감사 결과 금강산댐 저수량이 예상보다 적어 논란이 있었고, 이후 2002년 2단계 증축 공사를 거쳐 현재는 홍수 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 국가안전기획부 - 수지 김 사건
수지 김 사건은 1987년 홍콩에서 발생한 김옥분 살해 사건으로, 남편 윤태식이 아내를 살해 후 북한 공작원에게 납치됐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안기부의 은폐 시도와 5공 정권의 정치적 목적이 결합되어 '북한 여간첩 사건'으로 조작된 사건이다. - 해체된 정보기관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대한민국 중앙정보부는 1961년에 설립되어 국가 안보 관련 정보 수집, 범죄 수사, 정부 부처 감독을 수행했으며, 김종필, 김형욱, 이후락 등이 부장을 역임하고 인민혁명당 사건, 동베를린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 등과 관련된 기관이다. - 해체된 정보기관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국가안전기획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국가안전기획부 |
현지어 이름 | 國家安全企劃部 |
로마자 표기 | Gukga Anjeon Gihoekbu |
영문 명칭 | Agency for National Security Planning, ANSP |
국가 | 대한민국 |
설립일 | 1981년 4월 8일 |
해산일 | 1999년 1월 22일 |
전신 | 중앙정보부 |
후신 | 국가정보원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
직원 | 기밀 |
예산 | 기밀 |
상급기관 | 대한민국 대통령 |
기타 |
2. 설립 배경 및 연혁
1961년 5월 20일 창설된 중앙정보부는 1980년 12월 31일 국가안전기획부로 확대·개편되었다. 중앙정보부는 1967년 대통령 선거 이후 학생운동권, 친북 세력 외에도 반 유신 세력 및 재야 시민단체, 여성주의, 해방신학, 통일 운동 등 반정부 또는 체제 비판 세력을 적발, 단속하면서 인권 유린, 도감청, 여론 조작 문제로 대국민 이미지가 나빠졌다. 전두환은 1980년 12월 22일 중앙정보부를 국가안전기획부로 개편하고 일부 기능을 조정하였다. 1981년 4월 8일 국가안전기획부가 신설되었고,[1] 1981년 12월 31일 국가안전기획부법이 설치되었다.[2] 1999년 1월 21일 국가안전기획부는 국가정보원으로 개편되었다.[3]
2. 1. 설립 배경
1961년 5월 20일 창설된 중앙정보부는 1980년 12월 31일 국가안전기획부로 확대·개편되었다. 국가안전기획부는 기존 중앙정보부보다 대공, 대북, 방첩 및 정보수집 업무가 강화되었다. 1967년 대통령 선거 이후 중앙정보부가 학생운동권, 친북한세력, 반(反) 유신세력, 재야시민단체, 여성주의, 해방신학, 통일운동 등 반정부 또는 체제 비판 세력을 적발, 단속하는 과정에서 인권 유린, 도감청, 여론 조작 문제가 집중 부각되어 대국민 이미지가 나빠졌다. 이에 전두환은 중앙정보부장 서리를 역임하며 부서 장악을 위해 1980년 12월 22일 중앙정보부를 국가안전기획부로 개편하고 일부 기능을 조정하였다.2. 2. 연혁
- 1981년 4월 8일 - 중앙정보부를 개편하고 '''국가안전기획부'''를 신설.[1]
- 1981년 12월 31일 - 국가안전기획부법 설치.[2]
- 1999년 1월 21일 - 국가안전기획부를 개편하고 '''국가정보원'''을 신설.[3]
3.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는 국외 정보 및 국내 보안 정보(대공, 대정부 전복, 대테러, 국제범죄조직 등)의 수집·작성·배포, 국가 기밀에 속하는 문서·자재·시설과 지역에 대한 보안 업무를 담당했다. 또한, 형법상 내란·외환의 죄, 군형법상 반란·이적의 죄, 군사기밀누설죄·암호부정사용죄, 군사기밀보호법 및 국가보안법에 규정된 범죄와 안기부 직원의 직무와 관련된 범죄를 수사했다. 국가보안법 관련 범죄 수사와 정보 및 보안 업무에 대한 기획·조정도 담당하였다.[1]
3. 1. 설치 근거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는 다음 법률에 근거하여 설치되었다.[1]법률명 | 제정일 | 조항 |
---|---|---|
정부조직법 [법률 제3422호] | 1981년 4월 8일 | 제14조 |
국가안전기획부법 [법률 제3313호] | 1980년 12월 31일 | 제2조 |
3. 2. 소관 업무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했다.[1]- 국외 정보 및 국내 보안 정보(대공, 대정부 전복, 대테러, 국제범죄조직 등) 수집, 작성, 배포
- 국가 기밀 관련 문서, 자료, 시설, 지역에 대한 보안 업무
- 간첩, 이적행위자 색출, 적발, 처벌
- 형법상 내란, 외환의 죄, 군형법상 반란, 이적의 죄, 군사기밀누설죄, 암호부정사용죄, 군사기밀보호법 및 국가보안법에 규정된 범죄 수사
- 안기부 직원 직무 관련 범죄 수사
- 국가보안법 관련 범죄 수사
- 정보 및 보안 업무 기획, 조정
안기부 부서 명칭과 임무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보안 유지를 위한 방편이었다.[3] 예를 들어 해외조사실은 이름과 달리 대북 공작을, 북한정보실은 대북 정보 수집 및 공작 임무를 수행했다. 대공정보실은 대공 정보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언론 등 각 분야 주요 동향과 서울 관내 지역 정보를 수집했다.[3] 대공수사실은 간첩을 잡는 일 외에도 정치 공작 임무를 수행하는 '대공수사 ○단'(團)도 있었다.[3]
4. 조직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는 부장과 차장 아래 여러 조직을 두어 운영되었다. 기획조정실, 감찰실, 정보관리실, 총무관리실(또는 총무관리국)은 독립된 실로 존재했고, 그 밖의 실은 1, 2, 3차장 또는 운영차장의 지휘를 받았다.
각 차장 예하에는 실과 국이 있었고, 실과 국 예하에는 단, 처, 과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대공정책실에는 대공정책 1단, 2단 등이 있었고, 해외공작국에는 해외공작 1단, 2단, 8단 등이 있었다. 실국장은 관리관, 부실장과 부국장, 단장은 이사관급, 처장과 과장은 부이사관급, 계장급은 서기관으로 보임되었다.[12]
안기부의 조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직책 | 역할 및 기능 |
---|---|
부장 | 안기부의 최고 책임자 |
차장 | 1, 2, 3차장 및 운영차장으로 구성 |
기획조정실장 | 인사, 교육, 예산 담당 (차관급)[14] |
총무관리실(국)장 | 총무 담당 |
실국장 | 관리관급 |
부실장, 부국장, 단장 | 이사관급 |
처장, 과장 | 부이사관급 |
계장 | 서기관 |
안기부의 역대 실장, 차장보, 국장, 지부장, 처장, 과장, 계장, 팀장 등의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출신 | 비고 |
---|---|---|---|---|
기획조정실장 | 김용갑[14] | 1981년 1월 1일 ~ 1985년 2월 19일 | 기조실장 겸임 | |
기획조정실장 | 윤옥영[14] | 1985년 2월 23일 ~ 1990년 3월 20일 | 안기부 기조실장 겸임 | |
기획조정실장 | 엄삼탁[17][20] | 1990년 3월 20일 ~ 1992년 3월 | 안기부 기획조정실장 겸임, 대통령 국방담당보좌관, 안기부장 비서실장, 병무청장, 국민생활체육협의회 회장 | |
1차장보 | 안현태[12] | 1981년 1월 ~ 1983년 | ||
2차장보 | 김정섭[13] | 1981년 1월 ~ ? | 중앙정보부 2차장보 | |
차장보 | 나희필[19] | 1981년 1월 ~ 1982년 5월 11일 | 육군대학 총장, 중앙정보부 차장보, 비상기획위원회 부위원장, 비상기획위원회위원장, 국가안보회의상임위원 | |
2차장 | 박세직[19] | 1982년 11월 30일 ~ 1983년 1월 | 경북 칠곡 | 육사, 수도경비사령관, 한국전력 부사장, 안기부 2차장, 서울특별시장, 국가안전기획부장, 총무처 장관, 체육부 장관, 제14·15대 국회의원 |
대공 수사국장 | 성용욱[18] | ? - ? | 경남 산청 | 육사, 대공 수사국장 겸임, 육군대령, 안기부 대공수사국장, 국세청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차장, 안기부 1차장 |
대공 수사국장 | 전희찬[18] | ? - ? | 대공 수사국장 겸임 | |
차장보 | 김동근[15][16] | 1984년 11월 12일 ~ 1985년 2월 | ||
차장보 | 김OO | 1985년 전후 | ||
차장보 | ?[17] | 1988년 ~ 1989년 | ||
차장보 | ?[18] | 1988년 12월 5일 ~ 1989년 7월 18일 | 전남 함평 | |
차장보 | ?[19] | 1988년 ~ 1989년 | ||
차장보 | ?[17] | 1989년 ~ | ||
차장보 | ?[18] | 1989년 7월 19일 ~ ? | ||
차장보 | ?[19] | 1989년 ~ | ||
차장보 | 성병욱[18] | 1991년 ~ 1992년 3월 | ||
차장보 | ?[19] | 1991년 ~ 1992년 3월 | ||
차장보 | ?[21] | 1991년 ~ 1992년 3월 | ||
1차장 | 황창평[17] | 1992년 3월 ~ 1993년 3월 4일[22] | 경남 마산 | 고려대, 국가안전기획부 마산지부, 서울 지부장, 국가안전기획부 대공정보국장, 국가보훈처장, 안기부 1차장 |
2차장 | 정형근[18] | 1992년 3월 ~ 1993년 3월 25일 | 경남 거창 | 서울대, 국가안전기획부 기획판단국장, 수사국장, 안기부 법무관, 대공판단국장, 안기부 2차장, 국회의원 |
차장보 | 장승옥[23] | 1992년 3월 ~ 1992년 9월 19일[24] | ||
차장보 | ?[21] | 1992년 3월 ~ 1993년 3월 | ||
차장보 | ?[17] | 1993년 3월 4일 ~ 1993년 3월 24일 | ||
차장보 | ?[19] | 1992년 9월 20일 ~ 1993년 3월 24일 | ||
차장보 | ?[21] | 1993년 3월 ~ 1993년 3월 24일 | ||
차장보 | ?[17] | 1993년 3월 26일 ~ | ||
차장보 | ?[18] | 1993년 3월 26일[25] ~ 1993년 4월 29일 | 경기도 | |
차장보 | ?[18] | 1993년 4월 30일 ~ 1997년 12월 | 전남 함평 | |
차장보 | ?[19] | 1993년 3월 26일 ~ | ||
1차장보 | 김영준[17] | 1998년 3월 10일 ~ 1999년 1월 | 국정원 1차장보, 대외협력보좌관실 보좌관, 국가정보원 해외담당대변인 |
4. 1. 본부 조직
대한민국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의 본부 조직은 크게 독립 부서와 차장 예하 부서로 나뉘었다.- 독립 부서:
- 기획조정실: 인사, 교육, 예산을 담당했으며, 실장은 차관급이었다.[14] 기획조정국 등의 하위 조직을 두었다.
- 감찰실
- 정보관리실
- 총무관리실(또는 총무관리국): 총무국 등의 하위 조직을 두었으며, 총무국 인사과는 기획조정실장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가졌다.
- 차장 예하 부서:
- 1차장 (국내 담당):
- 101실 (기획판단실)
- 102실 (대공정보실)
- 103실 (대공수사실)
- 대공수사국
- 2차장 (해외 담당):
- 202실 (해외공작실)
- 203실 (해외조사실)
- 미림팀 (1981~1992, 2차장 직속)
- 제2차 미림팀 (1992~1998)
- 3차장 (대북 담당):
- 302실 (북한정보실)
- 운영차장: 부 운영, 경리, 인사 담당
각 차장 예하에는 실과 국이 있었고, 그 아래에 단, 처, 과 등이 존재했다. 예를 들어 대공정책실에는 대공정책 1단, 2단 등이, 해외공작국에는 해외공작 1단, 2단, 8단 등이 있었다. 실국장은 관리관, 부실장과 부국장, 단장은 이사관급, 처장과 과장은 부이사관급으로 보했다.[12]
4. 2. 지역 지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주요 도시와 각 도에 안기부 지부를 두었다.[4] 12개의 각 지방지부는 1차장 산하였다.[3] 지부장은 1급 또는 2급 공무원이 맡았는데, 대부분 1급 공무원으로 보임되었다.[3]지부에는 1급 또는 2급의 지부장과 그 아래 부지부장이 있었다. 시도지부 아래에 출장소가 있었고, 시도지부 혹은 시도지부의 출장소 예하에 시군지부 등이 존재하였다.
4. 3. 부훈
-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 (1981년 ~ 1998년 5월 12일)
- "정보는 국력이다" (1998년 5월 12일 ~ 1999년 1월 22일)
4. 4. 기타 조직
- 1차장보좌관실
- 2차장보좌관실
- 3차장보좌관실
- 1차장보(정보차장보)
- 2차장보(수사차장보)
- 3차장보(보안차장보)
- 4차장보
- 운영차장보
- 기획조정실장실(1981년 ~ 1999년)
- * 기획조정국(기획조정실 예하)
- * 기타 예하기관 비공개
- 비서실(1981년 ~ 1999년)
- 보좌관실(1981년 ~ 1999년)
- 감찰실(1981년 ~ 1999년)
- 교육발전실(1981년 ~ 1999년)
- 기획판단실(1981년 ~ 1999년)
- 대공정보실(1981년 ~ 1999년)
- 대공수사실(1981년 ~ 1999년)
- 대공수사국(1981년 ~ 1999년)
- 미림팀(1981년 ~ 1992년)
- 해외공작실(1981년 ~ 1999년)
- 해외조사실(1981년 ~ 1999년)
- 북한정보실(1981년 ~ 1999년)
- 분석연구실(1985년 ~ 1987년)
- 정보관리실(독립) (1981년 ~ 1999년)
- 정책연구실(1987년 ~ 1989년)
- 총무관리실(독립) (1981년 ~ 1999년)
- 통신실(1981년 ~ 1999년)
- 1국(기획판단국, 1981년 ~ 1999년)
- 2국(대공수사국, 1981년 ~ 1999년)
- 3국(1981년 ~ 1999년)
- 4국(1981년 ~ 1999년)
- 5국(1981년 ~ 1999년)
- 6국(1981년 ~ 1999년)
- 7국(1981년 ~ 1999년)
- 총무관리국(1981년 ~ 1999년)
- * 예하기관 비공개
- 정보관리국(1981년 ~ 1999년)
- * 예하기관 비공개
- 제2차 미림팀 (1992년 ~ 1998년)
- 특별시, 직할시, 각 도 지부(1981년 ~ 1999년)
- * 예하기관 비공개
5. 역대 부장 및 차장
국가안전기획부의 역대 부장 및 차장 명단은 다음과 같다.
정부 | 직위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제5공화국 | 차장 | 13대 | 현홍주(玄鴻柱)[7] | 1981년 1월 ~ 1985년 1월 18일 | 경기 경성 (현 서울) | 서울대 | 중앙정보부 제2국장, 정책조정실장, 제2차장, 법제처장, 제12대 국회의원, 주 미국 대사 |
14대 | 김근수(金瑾洙) | 1985년 1월 19일 ~ 1986년 1월 7일 | 경북 상주 | 고려대 | 국가안전기획부 제1국장, 제2국장, 보훈처장, 제13대 국회의원 | ||
15대 | 이해구(李海龜) | 1986년 1월 8일 ~ 1987년 5월 30일 | 경기 안성 | 고려대 | 경기도경국장, 치안본부 인사과장, 교육과장, 경무과장, 경찰대학장, 치안본부 4부장, 서울시경국장, 치안본부장, 경기도지사, 내무부 치안본부장, 내무부 장관, 제13·14·15·16대 국회의원 | ||
16대 | 이상연(李相淵) | 1987년 5월 30일 ~ 1988년 12월 | 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 | 경북대 | 정무1장관 보좌관, 장관 보좌관, 대구직할시장, 국가보훈처장, 내무부 장관 | ||
제6공화국 | |||||||
17대 | 안응모(安應模) | 1988년 12월 ~ 1990년 3월 | 황해 벽성 | 단국대 | 충청남도지사, 대통령비서실 정무제2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해양경찰대장, 내무부 치안본부장, 조달청장, 내무부 장관 | ||
18대 | 김영수(金榮秀) | 1990년 3월 ~ 1992년 2월 | 경기 인천 (현 경기와 분리) | 서울대 |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문화체육부 장관, 제14대 국회의원,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이사장, 한국농구연맹 총재 | ||
19대 | 성용욱(成鎔旭) | 1992년 2월 ~ 1992년 10월 | 경남 산천 | 육사 | 육군대령, 안기부 대공수사국장, 국세청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차장 | ||
20대 | 손진곤(孫晋坤) | 1992년 10월 ~ 1993년 3월 | | | ||||
문민정부 | 21대 | 황창평(黃昌平)[8] | 1993년 3월 ~ 1994년 12월 | 경남 마산 (현 경남 창원) | 고려대 | 안기부 1차장, 국가보훈처장 | |
22대 | 정형근(鄭亨根) | 1994년 12월 ~ 1995년 3월 | 경남 거창 | 서울대 | 국가안전기획부 기획판단국장, 안기부 법무관, 대공판단국장, 안기부 2차장보, 국회의원 | ||
23대 | 오정소(吳正昭) | 1995년 3월 ~ 1996년 12월 | 황해 해주 | 고려대 | 국가보훈처장 | ||
24대 | 박일용(朴一龍) | 1996년 12월 20일 ~ 1998년 3월 | 경남 부산 (현 경남과 분리) | 서울대 법대 | 관악경찰서장, 부산지방경찰청장, 서울지방경찰청장, 해양경찰청장, 경찰청장 | ||
국민의 정부 | 25대 | 신건(辛建) | 1998년 3월 10일[9] ~ 1998년 3월 23일 | 전북 전주 | 서울대 |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차관, 국가정보원장 | |
26대 | 나종일(羅鍾一) | 1998년 3월 24일[10] ~ 1999년 1월 | | 경희대학교 교수, 주 일본 대사, 국가정보원장 특별보좌관, 국가정보원 외교담당 특별보좌역 | ||||
제5공화국 | 제1차장 | 13대 | 김성진(金聖鎭)[11] | 1981년 1월 ~ 1983년 | | | ||
14대 | 박세직(朴世直) | 1983년 1월 ~ 1985년 5월 | 경북 칠곡 | 육사 |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한국전력공사 부사장, 안기부 차장보, 서울특별시장, 국가안전기획부장, 총무처 장관, 체육부 장관, 제14·15대 국회의원, 재향군인회 회장 | ||
15대 | 손장래(孫章來) | 1985년 5월 20일 ~ 1986년 1월 | 경기 개성 | 육사 | 기갑학교교장, 사단장, 합참국장, 주미한국대사관 공사, 주 말레이시아 대사 | ||
16대 | 이학봉(李鶴捧) | 1986년 1월 8일 ~ 1988년 5월 | 경남 부산 (현 경남과 분리) | 육사 |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제13대 국회의원 | ||
제6공화국 | |||||||
17대 | 안응모(安應模) | 1988년 5월 ~ 1988년 12월 | 황해 벽성 | 단국대 | 충청남도지사, 대통령비서실 정무제2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해양경찰대장, 내무부 치안본부장, 조달청장 | ||
18대 | 정태동(鄭泰東) | 1988년 12월 20일 ~ 1989년 7월 | 충북 제천 | 미국 조지워싱턴대 | 연세대학교 부교수, 교수, 미국 오버린 대학 교수, 조지타운 대학교수,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 중앙정보부장특별보좌관, 주미 한국대사관 공사, 국방정보본부 제3부장, 주타이 한국대사관 대사 | ||
19대 | 이상구(李常九) | 1989년 7월 ~ 1992년 3월 3일 | 경기 양평 | 조선대학교 | 주 서독 공사, 주 일본 공사, 국회의장 비서실장, 안기부 자문위원, 주 말레이시아 대사 | ||
20대 | 1992년 3월 3일 ~ 1993년 3월 | | | |||||
문민정부 | 21대 | 김정원(金正源) | 1993년 3월 ~ 1993년 5월 | 경남 울산 (현 경남과 분리) | 미국 존스홉킨스대 대학원 |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위원, 민자당총재 외교안보특보 | |
22대 | 이병호(李炳浩) | 1993년 5월 ~ 1996년 12월 | | | ||||
23대 | 이병기(李丙琪) | 1996년 12월 20일 ~ 1998년 3월 | 서울 | 서울대 | 대통령비서실 의전수석비서관, 주일본 대사 | ||
국민의 정부 | 24대 | 나종일(羅鍾一) | 1998년 3월 10일[9] ~ 1998년 3월 23일 | | 경희대학교 교수, 주 일본 대사, 국가정보원장 특별보좌관, 국가정보원 외교담당 특별보좌역 | |||
25대 | 신건(辛建) | 1998년 3월 24일[10] ~ 1999년 1월 | 전북 전주 | 서울대 |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차관, 국가정보원장 | ||
제5공화국 | 제2차장 | 13대 | 나희필(羅熙弼) | 1981년 1월 ~ 1982년 5월 11일 | 평남 용강 | 육군사관 | 육군대학 총장, 중앙정보부 차장보, 비상기획위원회 부위원장, 비상기획위원회위원장, 국가안보회의상임위원 |
14대 | 육완식(陸完植) | 1986년 4월 13일 ~ 1990년 | 육군사관 | 현역 육군중장, 1공수여단장, 특전사 사령관, 치안본부, 올림픽안전조정통제본부 본부장, 서울올림픽총안보담당, 한국공항관리공단이사장 | |||
문민정부 | 기획조정실장 | 15대 | 김기섭(金己燮) | 1993년 6월 23일 ~ 1997년 2월 28일 | | 안기부 기획조정실장 겸직 | ||
직무대행 | 신정용(辛正容) | 1997년 2월 28일 ~ 1997년 3월 6일 | 서울대 | 안기부 21세기 발전기획단장, 안기부 기획관리실장, 안기부 기획조정국장, 기획조정실장 | |||
문민정부 | 제3차장 | 16대 | 엄익준(嚴翼駿) | 1997년 3월 6일 ~ 1998년 3월 7일 | 전북 전주 | 고려대 | 안기부 대북 전략국장, 안기부 제3실장, 제8실장, 안기부장 제3특보, 국가정보원 2차장 |
- 기타
- 안현태(安賢泰)[12], 1981년 1월 ~ 1983년
- 김정섭(金正燮)[13], 1981년 1월 ~ ?, 중앙정보부 2차장보
- 김용갑(金容甲)[14], 1981년 1월 1일 ~ 1985년 2월 19일, 기조실장 겸임
- 박세직(朴世直)[19], 1982년 11월 30일 ~ 1983년 1월, 경북 칠곡, 육사, 수도경비사령관, 한국전력 부사장, 안기부 2차장, 서울특별시장, 국가안전기획부장, 총무처 장관, 체육부 장관, 제14·15대 국회의원
- 성용욱(成鎔旭)[18], ? - ?, 경남 산청, 육사, 대공 수사국장 겸임, 육군대령, 안기부 대공수사국장, 국세청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차장, 안기부 1차장
- 전희찬(全熹贊)[18], ? - ?, , , 대공 수사국장 겸임
- 김동근[15](金東根)[16], 1984년 11월 12일 ~ 1985년 2월
- 윤옥영(尹沃榮)[14], 1985년 2월 23일 ~ 1990년 3월 20일, 안기부 기조실장 겸임
- ?[17], 1988년 ~ 1989년
- ?[18], 1988년 12월 5일 ~ 1989년 7월 18일, 전남 함평, ?
- ?[19], 1988년 ~ 1989년
- ?[17], 1989년 ~
- ?[18], 1989년 7월 19일 ~ ?
- ?[19], 1989년 ~
- 엄삼탁(嚴三鐸)[17][20], 1990년 3월 20일 ~ 1992년 3월, 안기부 기획조정실장 겸임, 대통령 국방담당보좌관, 안기부장 비서실장, 병무청장, 국민생활체육협의회 회장
- 성병욱(成炳旭)[18], 1991년 ~ 1992년 3월
- ?[19], 1991년 ~ 1992년 3월
- ?[21], 1991년 ~ 1992년 3월
- 황창평(黃昌平)[17], 1992년 3월 ~ 1993년 3월 4일[22], 경남 마산, 고려대, 국가안전기획부 마산지부,서울 지부장, 국가안전기획부 대공정보국장, 국가보훈처장, 안기부 1차장
- 정형근(鄭亨根)[18], 1992년 3월 ~ 1993년 3월 25일, 경남 거창, 서울대, 국가안전기획부 기획판단국장&수사국장, 안기부 법무관, 대공판단국장, 안기부 2차장, 국회의원
- 장승옥(張升鈺)[23], 1992년 3월 ~ 1992년 9월 19일[24]
- ?[21], 1992년 3월 ~ 1993년 3월
- ?[17], 1993년 3월 4일 ~ 1993년 3월 24일
- ?[19] , 1992년 9월 20일 ~ 1993년 3월 24일
- ?[21], 1993년 3월 ~ 1993년 3월 24일
- ?[17], 1993년 3월 26일 ~
- ?[18], 1993년 3월 26일[25] ~ 1993년 4월 29일, 경기도
- ?[18], 1993년 4월 30일 ~ 1997년 12월, 전남 함평,
- ?[19], 1993년 3월 26일 ~
- 김영준[17], 1998년 3월 10일 ~ 1999년 1월, 국정원 1차장보, 대외협력보좌관실 보좌관, 국가정보원 해외담당대변인
5. 1. 역대 부장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제5공화국 | 13대 | 유학성[5] | 1981년 1월 1일 ~ 1982년 6월 1일 | 경북 예천 | 육사 | 국방부 군수차관보, 제12·13·14대 국회의원,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 |
14대 | 노신영 | 1982년 6월 2일 ~ 1985년 2월 18일 | 평남 강서 | 서울대 | 외무부 차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 |
15대 | 장세동 | 1985년 2월 19일 ~ 1987년 5월 25일 | 전남 고흥 | 육사 | 수도방위사령부 제30경비여단장, 대통령경호실장 | |
16대 | 안무혁 | 1987년 5월 26일 ~ 1988년 5월 6일 | 황해 안악 | 육사 | 국세청장, 제14대 국회의원, 한국발전연구원 이사장, 황해도중앙도민회장 | |
제6공화국 | 17대 | 배명인 | 1988년 5월 7일 ~ 1988년 12월 4일 | 경남 진해 (현 경남 창원) | 서울대 | 광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법무연수원장, 법무부 장관 |
18대 | 박세직 | 1988년 12월 5일 ~ 1989년 7월 18일 | 경북 칠곡 | 육사, 서울대 | 서울특별시장,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총무처 장관, 체육부 장관, 제14·15대 국회의원, 재향군인회 회장 | |
19대 | 서동권 | 1989년 7월 19일 ~ 1992년 3월 30일 | 경북 영천 | 고려대 | 검찰총장, 법무부 차관, 동서법률문화연구소 대표연구사 | |
20대 | 이상연 | 1992년 3월 31일 ~ 1992년 10월 8일 | 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 | 경북대 | 정무1장관 보좌관, 서울특별시청 부시장, 대구직할시장, 국가보훈처장, 내무부 장관 | |
21대 | 이현우 | 1992년 10월 9일 ~ 1993년 2월 25일 | 충남 대전 (현 충남과 분리) | 육사 | 대통령경호실장 | |
문민정부 | 22대 | 김덕[6] | 1993년 2월 26일 ~ 1994년 12월 23일 | 경북 구미 | 서울대 | 통일부총리, 제15대 국회의원 |
23대 | 권영해 | 1994년 12월 24일 ~ 1998년 3월 4일 | 경북 경주 | 육사 | 국방부 차관, 국방부 장관, 한국야구위원회 총재 | |
국민의 정부 | 24대 | 이종찬 | 1998년 3월 5일 ~ 1999년 1월 22일 | 중국 상하이 | 육사 |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정무 제1장관, 제11·12·13·14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사무총장 |
5. 2. 역대 차장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제5공화국 | 13대 | 현홍주(玄鴻柱)[7] | 1981년 1월 ~ 1985년 1월 18일 | 경기 경성 (현 서울) | 서울대 | 중앙정보부 제2국장, 정책조정실장, 제2차장, 법제처장, 제12대 국회의원, 주 미국 대사 |
14대 | 김근수(金瑾洙) | 1985년 1월 19일 ~ 1986년 1월 7일 | 경북 상주 | 고려대 | 국가안전기획부 제1국장, 제2국장, 보훈처장, 제13대 국회의원 | |
15대 | 이해구(李海龜) | 1986년 1월 8일 ~ 1987년 5월 30일 | 경기 안성 | 고려대 | 경기도경국장, 치안보부 인사과장, 교육과장, 경무과장, 경찰대학장, 치안본부 4부장, 서울시경국장, 치안본부장, 경기도지사, 내무부 치안본부장, 내무부 장관, 제13·14·15·16대 국회의원 | |
16대 | 이상연(李相淵) | 1987년 5월 30일 ~ 1988년 12월 | 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 | 경북대 | 정무1장관 보좌관, 장관 보좌관, 대구직할시장, 국가보훈처장, 내무부 장관 | |
제6공화국 | ||||||
17대 | 안응모(安應模) | 1988년 12월 ~ 1990년 3월 | 황해 벽성 | 단국대 | 충청남도지사, 대통령비서실 정무제2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해양경찰대장, 내무부 치안본부장, 조달청장, 내무부 장관 | |
18대 | 김영수(金榮秀) | 1990년 3월 ~ 1992년 2월 | 경기 인천 (현 경기와 분리) | 서울대 |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문화체육부 장관, 제14대 국회의원,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이사장, 한국농구연맹 총재 | |
19대 | 성용욱(成鎔旭) | 1992년 2월 ~ 1992년 10월 | 경남 산천 | 육사 | 육군대령, 안기부 대공수사국장, 국세청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차장 | |
20대 | 손진곤(孫晋坤) | 1992년 10월 ~ 1993년 3월 | | | | |||
문민정부 | 21대 | 황창평(黃昌平)[8] | 1993년 3월 ~ 1994년 12월 | 경남 마산 (현 경남 창원) | 고려대 | 안기부 1차장, 국가보훈처장 |
22대 | 정형근(鄭亨根) | 1994년 12월 ~ 1995년 3월 | 경남 거창 | 서울대 | 국가안전기획부 기획판단국장, 안기부 법무관, 대공판단국장, 안기부 2차장보, 국회의원 | |
23대 | 오정소(吳正昭) | 1995년 3월 ~ 1996년 12월 | 황해 해주 | 고려대 | 국가보훈처장 | |
24대 | 박일용(朴一龍) | 1996년 12월 20일 ~ 1998년 3월 | 경남 부산 (현 경남과 분리) | 서울대 법대 | 관악경찰서장, 부산지방경찰청장, 서울지방경찰청장, 해양경찰청장, 경찰청장 | |
국민의 정부 | 25대 | 신건(辛建) | 1998년 3월 10일[9] ~ 1998년 3월 23일 | 전북 전주 | 서울대 |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차관, 국가정보원장 |
26대 | 나종일(羅鍾一) | 1998년 3월 24일[10] ~ 1999년 1월 | | | 경희대학교 교수, 주 일본 대사, 국가정보원장 특별보좌관, 국가정보원 외교담당 특별보좌역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제5공화국 | 13대 | 김성진(金聖鎭)[11] | 1981년 1월 ~ 1983년 | | | | ||
14대 | 박세직(朴世直) | 1983년 1월 ~ 1985년 5월 | 경북 칠곡 | 육사 |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한국전력공사 부사장, 안기부 차장보, 서울특별시장, 국가안전기획부장, 총무처 장관, 체육부 장관, 제14·15대 국회의원, 재향군인회 회장 | |
15대 | 손장래(孫章來) | 1985년 5월 20일 ~ 1986년 1월 | 경기 개성 | 육사 | 기갑학교교장, 사단장, 합참국장, 주미한국대사관 공사, 주 말레이시아 대사 | |
16대 | 이학봉(李鶴捧) | 1986년 1월 8일 ~ 1988년 5월 | 경남 부산 (현 경남과 분리) | 육사 |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제13대 국회의원 | |
제6공화국 | ||||||
17대 | 안응모(安應模) | 1988년 5월 ~ 1988년 12월 | 황해 벽성 | 단국대 | 충청남도지사, 대통령비서실 정무제2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해양경찰대장, 내무부 치안본부장, 조달청장 | |
18대 | 정태동(鄭泰東) | 1988년 12월 20일 ~ 1989년 7월 | 충북 제천 | 미국 조지워싱턴대 | 연세대학교 부교수, 교수, 미국 오버린 대학 교수, 조지타운 대학교수,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 중앙정보부장특별보좌관, 주미 한국대사관 공사, 국방정보본부 제3부장, 주타이 한국대사관 대사 | |
19대 | 이상구(李常九) | 1989년 7월 ~ 1992년 3월 3일 | 경기 양평 | 조선대학교 | 주 서독 공사, 주 일본 공사, 국회의장 비서실장, 안기부 자문위원, 주 말레이시아 대사 | |
20대 | align="center" | | 1992년 3월 3일 ~ 1993년 3월 | | | | |||
문민정부 | 21대 | 김정원(金正源) | 1993년 3월 ~ 1993년 5월 | 경남 울산 (현 경남과 분리) | 미국 존스홉킨스대 대학원 |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위원, 민자당총재 외교안보특보 |
22대 | 이병호(李炳浩) | 1993년 5월 ~ 1996년 12월 | | | | |||
23대 | 이병기(李丙琪) | 1996년 12월 20일 ~ 1998년 3월 | 서울 | 서울대 | 대통령비서실 의전수석비서관, 주일본 대사 | |
국민의 정부 | 24대 | 나종일(羅鍾一) | 1998년 3월 10일[9] ~ 1998년 3월 23일 | | | 경희대학교 교수, 주 일본 대사, 국가정보원장 특별보좌관, 국가정보원 외교담당 특별보좌역 | ||
25대 | 신건(辛建) | 1998년 3월 24일[10] ~ 1999년 1월 | 전북 전주 | 서울대 |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차관, 국가정보원장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제5공화국 | 13대 | 나희필(羅熙弼) | 1981년 1월 ~ 1982년 5월 11일 | 평남 용강 | 육군사관 | 육군대학 총장, 중앙정보부 차장보, 비상기획위원회 부위원장, 비상기획위원회위원장, 국가안보회의상임위원 |
14대 | 육완식(陸完植) | 1986년 4월 13일 ~ 1990년 | | 육군사관 | 현역 육군중장, 1공수여단장, 특전사 사령관, 치안본부, 올림픽안전조정통제본부 본부장, 서울올림픽총안보담당, 한국공항관리공단이사장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문민정부 | 15대 | 김기섭(金己燮) | 1993년 6월 23일 ~ 1997년 2월 28일 | | | 안기부 기획조정실장 겸직 | ||
직무대행 | 신정용(辛正容) | 1997년 2월 28일 ~ 1997년 3월 6일 | | 서울대 | 안기부 21세기 발전기획단장, 안기부 기획관리실장, 안기부 기획조정국장, 기획조정실장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문민정부 | 16대 | 엄익준(嚴翼駿) | 1997년 3월 6일 ~ 1998년 3월 7일 | 전북 전주 | 고려대 | 안기부 대북 전략국장, 안기부 제3실장, 제8실장, 안기부장 제3특보, 국가정보원 2차장 |
6. 활동 및 논란
중앙정보부는 1980년 12월 31일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로 확대·개편되었다. 안기부는 대공, 대북, 방첩업무와 정보수집 업무를 강화했지만, 학생운동, 반정부 세력, 재야 시민단체, 여성주의, 해방신학, 통일운동 등을 탄압하는 과정에서 인권 유린, 도감청, 여론 조작 문제가 발생했다.[3] 안기부는 선거 부정 감시와 간첩 침투, 대공 업무를 담당했지만, 실제로는 선거에 개입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드러나 문제가 되었다.[2]
- '''수지 김 간첩 조작 사건 (1987):''' 윤태식이 부인 김옥분(수지 김)을 살해한 사건을 제5공화국 정권이 공안 정국 조성을 위해 간첩 사건으로 조작하여 국제적 망신을 초래했다.[3]
- '''미림팀 운영 및 불법 도청 (1993~):''' 1993년부터 안기부의 비밀 도청팀인 미림팀이 운영되었으며, 김영삼 정부 시절 정관계 주요 인사들에 대한 불법 도청이 이루어졌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6] 2005년 7월 전 안기부 직원 김기삼에 의해 미림팀의 실체가 폭로되었다.[27]
- '''특정 인사 및 전현직 고위직 인맥 논란:''' 문민정부 시절 특정 지역 출신 대통령과 부장의 장기 집권으로 인해 안기부 내 사조직 및 계보 형성 문제가 발생했다. 김현철·김기섭·신정용·오정소·정형근 인맥 등이 거론되었다.[3]
- '''호남 지역 출신 인사 배제 및 차별:''' 1998년 이전까지 안기부 내에서 호남 지역 출신 인사들을 배제하고 차별하는 관행이 존재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3]
- '''1997년 대선 개입 논란:''' 오익제 천도교 교령 월북 사건과 관련하여 안기부가 당시 야당인 국민회의를 압박하고 대선에 개입하려 했다는 논란이 있었다.[32] 안기부는 국민회의 정동영 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조사하고 소환을 요구하는 등 강압적인 태도를 보였다.[34][35]
- '''기업체 협박 논란:''' 2005년 미림팀의 도청 테이프 유출 과정에서 퇴직한 안기부 직원이 기업체를 협박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6]
6. 1. 주요 활동
안기부의 주요 업무는 국외 정보 및 국내 보안 정보(주로 대공, 대정부 전복, 테러, 국제범죄조직 관련) 수집, 작성, 배포였다. 또한 국가 기밀 관련 문서, 자료, 자재, 시설 및 지역에 대한 안보 및 보안 시설 보호, 간첩 및 이적 행위자 색출, 적발 및 처벌 업무를 담당했다. 형법 중 내란죄·외환죄, 군형법 중 반란죄·이적죄·군사기밀누설죄·암호부정사용죄, 군사기밀보호법 및 국가보안법에 규정된 범죄 수사, 안기부 직원 직무 관련 범죄 수사, 국가보안법 관련 범죄 수사, 정보 및 보안 업무 기획·조정 등을 수행했다.[2]선거 부정 감시와 간첩 침투, 대공 업무도 담당했지만, 오히려 선거 개입 시도가 드러나 여러 번 문제가 되었다. 1993년부터 정치 개입에서 벗어나 국가 안보 업무에 집중하겠다고 밝히고 대규모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아시아 주변 정세에 대한 공개 브리핑을 하는 등 국민의 알 권리 보장 측면에서도 변화를 시도했다. 그러나 정부 요인, 측근들의 과도한 개입과 용공 몰이 논란, 기밀 유출, 선거 개입 등이 문제시되다가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국가정보원으로 개편되었다.[2]
제5공화국 당시 안기부는 야당 탄압 및 견제 활동에 집중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101실의 종합판단처·정치처, 102실의 정치처, 103실의 대공 수사 3단 등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했다. 105실은 주요 야당 인사에 대한 불법 도청으로 비난받았다.[3] 또한 지난 대선 때 한나라당이 폭로한 '김대중 비자금' 계좌 추적에 안기부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101·102실 내 경제처가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일부 지역 정보관들은 본연의 임무 외에 이권에 개입하여 지역 주민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이는 신분이 노출된 '화이트(백색 요원)'보다 '블랙(흑색 요원)'들의 이권 개입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3]
6. 2. 논란
1961년 5월 20일 창설된 중앙정보부는 1980년 12월 31일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로 확대·개편되었다. 안기부는 대공, 대북, 방첩업무와 정보수집 업무를 강화했지만, 학생운동, 반정부 세력, 재야 시민단체, 여성주의, 해방신학, 통일운동 등을 탄압하는 과정에서 인권 유린, 도감청, 여론 조작 문제가 발생했다.[3] 안기부는 선거 부정 감시와 간첩 침투, 대공 업무를 담당했지만, 실제로는 선거에 개입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드러나 문제가 되었다.[2]- '''수지 김 간첩 조작 사건 (1987):''' 윤태식이 부인 김옥분(수지 김)을 살해한 사건을 제5공화국 정권이 공안 정국 조성을 위해 간첩 사건으로 조작하여 국제적 망신을 초래했다.[3]
- '''미림팀 운영 및 불법 도청 (1993~):''' 1993년부터 안기부의 비밀 도청팀인 미림팀이 운영되었으며, 김영삼 정부 시절 정관계 주요 인사들에 대한 불법 도청이 이루어졌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6] 2005년 7월 전 안기부 직원 김기삼에 의해 미림팀의 실체가 폭로되었다.[27]
- '''특정 인사 및 전현직 고위직 인맥 논란:''' 문민정부 시절 특정 지역 출신 대통령과 부장의 장기 집권으로 인해 안기부 내 사조직 및 계보 형성 문제가 발생했다. 김현철·김기섭·신정용·오정소·정형근 인맥 등이 거론되었다.[3]
- '''호남 지역 출신 인사 배제 및 차별:''' 1998년 이전까지 안기부 내에서 호남 지역 출신 인사들을 배제하고 차별하는 관행이 존재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3]
- '''1997년 대선 개입 논란:''' 오익제 천도교 교령 월북 사건과 관련하여 안기부가 당시 야당인 국민회의를 압박하고 대선에 개입하려 했다는 논란이 있었다.[32] 안기부는 국민회의 정동영 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조사하고 소환을 요구하는 등 강압적인 태도를 보였다.[34][35]
- '''기업체 협박 논란:''' 2005년 미림팀의 도청 테이프 유출 과정에서 퇴직한 안기부 직원이 기업체를 협박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6]
- '''기무사와의 비교:''' 안기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무사와의 비교를 통해 조직의 특징과 역할을 설명한다. 두 조직 모두 보안 수칙과 정보 차단 원칙에 따라 숫자나 암호로 부서를 지정하고, 공식 명칭과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도 했다.[3]
7. 평가 및 영향
국가안전기획부는 조직 개편, 정보 공개 확대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에서 전두환, 노태우 정권 유지를 위한 억압적 도구로 기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학생운동권, 야당, 민주 세력 탄압에 앞장섰고, 선거 개입, 여론 조작, 도청, 사찰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서울올림픽과 윤석양 이병 폭로 사건 이후 안기부법 개폐 및 국가보안법 존폐 논란, 안기부 해체 요구 투쟁이 전개되었다.[55]
7. 1. 긍정적 평가
국가안전기획부는 국가 안보 및 정보 수집, 대공, 대북 업무 수행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서울올림픽의 안전 개최에 기여하였다.[55]7. 2. 부정적 평가
안기부는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 시절, 전두환, 노태우 정권 유지를 위해 학생운동권, 야당, 민주 세력 등을 억압하는 도구로 기능하였다. 선거 개입, 여론 조작, 도청 및 사찰 등의 문제로 인해 서울올림픽 개최와 윤석양 이병 폭로 사건 이후 국가보안법 존폐 논란 및 안기부법 개폐 논란이 발생했고, 안기부 해체 요구 투쟁이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55]7. 3. 사회적 영향
서울올림픽 개최와 윤석양 이병 폭로 사건 이후 안기부법 개폐와 국가보안법 존폐 논란이 나왔고, 안기부 해체 요구 투쟁이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 통치 체제하에서 안기부는 전두환, 노태우 정권 유지를 위해 학생운동권, 야당 세력, 민주 세력 등을 억압하는 도구로 기능하였고, 선거 개입, 여론 조작, 도청과 사찰 문제가 있었다.[55]참조
[1]
문서
국가안전기획부 설치 근거 조항
[2]
뉴스
용팔이 사건 당시 안기부 간부 2인 인터뷰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3-03-03
[3]
웹인용
‘병든 권부’ 도려낼 곳과 살릴 곳
http://www.sisapress[...]
2013-07-02
[4]
뉴스
안기부 대해부 ❻지역사찰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03-21
[5]
문서
부총리급 직책
[6]
문서
장관급 직책
[7]
문서
장관급 직책
[8]
문서
차관급 직책
[9]
뉴스
차관급 38명 인사
한겨레신문
1998-03-09
[10]
뉴스
안기부'물갈이'
한겨레
1998-03-24
[11]
문서
장관급 직책
[12]
문서
제1차장보 직책
[13]
문서
제2차장보 직책
[14]
문서
운영차장보 직책
[15]
문서
김동근 동명이인
[16]
문서
1차장보 직책
[17]
문서
제1차장보, 보안차장보 직책
[18]
문서
제2차장보, 수사차장보 직책
[19]
문서
제3차장보 직책
[20]
뉴스
개발 예정 투기지역 집중매입
한겨레신문
1993-03-28
[21]
문서
제4차장보 직책
[22]
뉴스
안기부 1차장 황창평씨 2차장 김정원씨
매일경제
1993-03-05
[23]
문서
제3차장보 직책
[24]
뉴스
주오만 대사 장승욱씨 주엘살바도르 홍장희씨
동아일보
1992-09-19
[25]
문서
정형근 후임 수사국장
[26]
뉴스
안기부 불법도청 테이프 파문 내용과 유출 경위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5-07-22
[27]
뉴스
전 안기부 직원, 불법도청 진상 털어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8]
뉴스
“미림팀외 별도 도청조직 있었다”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05-11-23
[29]
뉴스
오정소 전 안기부 1차장 지시로 미림팀 재건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05-08-05
[30]
뉴스
안기부 불법도청 테이프 파문 공 미림팀장·김기삼씨는 누구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5-07-26
[31]
뉴스
침울한 안기부 쓸쓸한 호국탑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8-04-05
[32]
뉴스
전 천도교 교령 오익제씨 월북,북한 도착 성명
http://imnews.imbc.c[...]
MBC뉴스데스크
1997-08-16
[33]
뉴스
오익제 씨 월북을 둘러싼 여야 공방 갈수록 치열
http://imnews.imbc.c[...]
MBC뉴스데스크
1997-08-19
[34]
뉴스
안기부, 오익제 입북 의혹 제기한 국민회의에 수사 협조 요청
http://imnews.imbc.c[...]
MBC뉴스데스크
1997-08-21
[35]
뉴스
정동영대변인 명예훼손 검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8-23
[36]
뉴스
안기부, 오익제 기획입북설 제기 정동영의원 명예훼손으로 고발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1997-08-22
[37]
뉴스
기획입북설'吳風(오풍)의 눈'으로 안기부,국민회의에 수사협조요청 안팎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8-22
[38]
뉴스
기획 입북, 그런 뜻이 아니고 "물러선 정동영"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8-23
[39]
뉴스
국민회의'鄭(정)대변인 출두'거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8-27
[40]
뉴스
국민회의-안기부 갈등 증폭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8-30
[41]
뉴스
「吳益濟(오익제)씨 입북」北(북)서 유인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8-29
[42]
뉴스
안기부,국민회의의 오익제 기획입북설은 꾸민 말
http://imnews.imbc.c[...]
mbc뉴스데스크
1997-09-11
[43]
뉴스
안기부 대해부 ❶ 인사난맥 YS 사람들'낙하산' 청와대 사조직 전락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03-12
[44]
뉴스
안기부 대해부 1면에서 이어짐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03-13
[45]
뉴스
안기부 대해부 ❷ 언론통제 툭하면'보도협조'칼날 '성역'기사 실종 다반사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03-13
[46]
뉴스
안기부 대해부 ➌예산 정부 정보비 배정권 장악 수사기관·부처 쥐락펴락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03-15
[47]
뉴스
안기부 대해부 4 존안카드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3-17
[48]
뉴스
안기부 대해부 ❺대북정책 개입 정보독점…정책영역 들락날락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3-20
[49]
뉴스
안기부 대해부 ❻지역사찰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3-21
[50]
뉴스
안기부 대해부 ❼정치간여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3-25
[51]
뉴스
안기부 대해부 ➇ 대선작전 대통령만들기“특명을 받들어라”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3-26
[52]
뉴스
안기부 대해부 ❾ 대통령과의 관계 충성 또 충성, 그것만이 존재한다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3-27
[53]
뉴스
안기부 대해부 ⑩ 국산 암호 독점 ‘빅 브러더’가 다가오고 있다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3-29
[54]
뉴스
안기부 대해부 (11) 기관·단체 출입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3-31
[55]
뉴스
수입허가 과정 외부압력 개입 올림픽 비행선 도입 '의혹' 수사
한겨레신문
198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